반응형 ADC2 [임베디드] ADC 사용하기 이번에 콩나물 공장 시스템을 설계하면서 온도 센서를 485 센서로 사용했지만 거리가 조금만 멀어지면 센서에 노이즈로 인해 값이 많이 튀는 증상이 생겨서 4-20m라는 조금은 생소한 ADC값을 이용해서 센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마이크로칩은 18F66K80으로 64핀을 사용하였습니다 ADC 알고리즘 ADC 설정을 할 때 몇비트의 ADC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게 되는데 저의 경우에는 12비트 ADC를 사용했습니다 12비트를 계산하면 0~4096까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센서는 1v ~ 5v 까지의 범위를 가지는 온도센서로 0℃가 1v이기 때문에 1v이하의 ADC값을 보정해야 1v ~ 5v 사이를 측정했을 때 0℃ ~ 100℃까지의 값을 구할수가 있습니다 즉 .. 2022. 8. 25. [임베디드] ADC란? ADC란 Analog to Digital Converter의 약자로 직역하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해준다라는 의미입니다. 임베디드 시스템 상의 모든 데이터와 연산은 1과 0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가 되는데 입력이 아날로그로 들어올 시 임베디드는 이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경해야 하는데 ADC가 바로 그 중간 역할을 합니다. 1)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가집니다. 1. 필터링 제일먼저 필터링 작업을 하여 노이즈를 제거합니다. 아날로그 신호는 그 자체로 노이즈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필터링은 필수입니다. 2. 샘플링 이렇게 노이즈를 제거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기 위해 x축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.. 2022. 1. 6. 이전 1 다음 반응형